2023.10.07
💖 서비스 명
롯데 시네마
💖 서비스 소개
영화관 롯데시네마의 앱 서비스를 살펴보았다.
저번 주에는 CGV를 살펴봤으니, 이번에는 롯데시네마를 살펴보았다.
그중에서도 영화 정보 / 예약 플로우를 살펴보기로 했다.
- 영화를 클릭해서 들어가면 기본적으로 영화에 대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는데, 어떤 방식으로(어떤 관에서) 상영되는지 라벨 형태로 되어 있고, 영화 개봉일, 러닝타임, 연령대, 관람객 수가 표기되어 있다.
- 상세 정보에는 장르와 감독, 출연진이 기재되어 있는데 각 출연진을 클릭하면 해당 배우의 필모그래피에 대한 정보가 드러남.
- 상세 정보 / 관람평 딱 2개의 탭으로 깔끔하게 구성되어 있으나, 관람평으로 들어갔을 때 관람객의 정보를 살펴볼 수 있는 부분은 없어서 조금 아쉬웠음.
- 영상을 강조하기 위해서인지, 혹은 화면 전환을 보다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영화 정보 화면은 기본적으로 다크모드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.
- 예매로 넘어가면 영화관 / 영화 시간표가 나열되어 있는데 영화 시간표의 경우 정사각형으로 꽉 차게 구성해 화면을 크게 넘기지 않아도 한눈에 상영 시간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.
- 영화 시간대를 선택하면 좌석 예약 화면으로 넘어가는데, 인원 선택 후 영화관의 주차 관련한 안내가 팝업으로 뜬다. 요즘에는 주차비도 사람들의 관심사 중 하나이기 때문에 정보제공으로 나쁘지 않은 듯. 꽤 고민해서 넣었을 것 같긴 하다.
- 좌석까지 선택하면 결제하기 창으로 바로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TOSS, 일반결제, L페이 결제 3가지 선택지를 먼저 노출하도록 배치했다.
- 결제 화면으로 넘어가면 포토 카드를 찾는 사람들이 많은지 상단에는 포토카드 구매 방법에 대해 안내를 해두었고, 토스 결제 관련 광고가 상단에, 그 아래에는 할인 탭, 그리고 그 하단에는 최종 결제 수단이 배치되어 있는데 스크롤을 많이 하지 않아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한 부분이 눈에 잘 들어오는 것 같다.
- 결제 후 영화 티켓 화면에는 영화의 제목, 몇 관인지, 예매 번호, 그리고 예매 날짜가 표기되어 있는데 영화 상영시간을 크게 표기해서 UX적으로도 좋은 구성이라고 생각했음.
- 특히 영화 티켓이 사이버에 녹아들었을 때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주차권, 영화관 위치에 대한 정보가 상단에 있고 좌석을 선택할 때 해당 좌석의 위치가 어디인지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.
- 하단에는 극장가의 식음료 할인 / 구성에 대한 프로모션과 티켓 공유, 포토카드, 예매 취소 버튼이 자리 잡고 있음.
💖 총평
영화관 앱을 연달아서 2개를 살펴보니 슬슬 차이점과 각각의 장점이 잘 보이는 듯하다. 다음번에는 메가박스까지 살펴본 후에 3가지 앱의 차이점과 각각의 장점, 단점에 대해서 정리해 볼 생각이다.
해당 앱 3개를 살펴보면 각각의 회사들은 어떤 것을 주력으로 생각하고 있는지, 어떤 포인트를 잡아 서비스를 꾸려나가고 있는지 살펴볼 수 있을 것 같다.
'UXUI 스터디 > 2023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앱 리뷰] 영화 앱 3종 비교 (CGV, 롯데시네마, 메가박스) (1) (0) | 2024.03.30 |
---|---|
[앱 리뷰] 메가박스 (0) | 2024.03.29 |
[앱 리뷰] CGV (0) | 2024.03.29 |
[앱 리뷰] 포켓 CU (2) | 2024.03.29 |
[서비스 리뷰] 네이버 지도 - My 플레이스 (0) | 2024.03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