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3.12.10
💚 제목
[ 당신이 몰랐던 네이버 지도의 비밀 ]
네이버 홈에 들어갔다가 프로모션 탭으로 노출되어 있었는데, 모바일로 먼저 보고 스터디 진행을 위해 데스크탑으로 접속해보니 NAVER CODE 사이트에 들어가면 홈페이지 파비콘의 색상이 계속해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또한 아티클을 읽을 시에는 스크롤에 따라(얼만큼 봤냐에 따라) 상단의 탭이 프로그래스바처럼 색상이 바뀌기도 한다.
💚 내용
네이버 지도가 한결같아보이지만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아티클.
지도의 경우 한 지면에 펼쳐진 그림과 같은 모습을 띄고 있지만 실제로는 여러개의 레이어가 쌓여 하나의 지도로 완성된다고 한다.
그 중 올해 네이버 지도에서 올해 아무도 모르게 바꾼 부분에 대해 설명해두었다.
(1) 지하철역 꼬리자르기
- 기존 맵 : 지도상에서 지하철역과 이름 위치는 그 주변에 더 중요한 장소가 있으면 노출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었음
- 개선 버전 : 지하철역이 주변 장소보다 인지도가 낮은 경우, 동그란 역 마커만 표시함. 역 이름을 빼고 마커로 위치만 표시해 더 많은 역을 노출하고, 사용자의 편의성에 신경씀.
(2) 버스정류장 침투작전
- 기존 맵 : 확대를 하지 않으면 버스정류장이 아예 보이지 않았음.
- 개선 버전 : 버스정류장 마커의 주목도를 낮추고 노출을 늘림. 크기를 줄이고 눈에 덜 띄는 디자인으로 개선.
(3) 문화 시설/명소 노출 개선
- 팬데믹이 끝나며 사용자들이 더 다양한 장소에서의 공간적 경험을 추구하는 것에 발맞춰 각양각색의 정보를 보여주기 위해 개선함.
- 도서관/문화시설/명소가 지도에서 더 쉽게 눈에 띌 수 있도록 작업을 진행함. 숨어있던 전국의 복합문화공간과 미술관, 유적과 박물관이 지도에서도 잘 보이게 됨.
- 지도에서 보이는 장소들은 공공성과 이용자의 관심도 등 여러 요인을 반영하여 공정하게 노출하고 있다고 함.
(4) 네이버 지도만의 차별화된 포인트
- 관심지역을 이용자들에게 노출함. 네이버 지도 사용자들이 검색, 저장, 방문, 리뷰 등으로 관심을 보인 장소들을 모은 살아있는 데이터의 집합체를 표기함.
- 관심 지역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시점별로 당시 사용자들의 관심도에 따라 적용되는 위치가 변화한다고 함.
💚 느낀 점
평소에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앱인만큼 흥미롭게 읽었다. 그리고 지도 서비스 하나를 만드는데에도 수많은 고민과 시행착오, 시도가 있다는 것이 느껴져서 재미있었다. 이전에는 탭이나 UI적인 구성만 눈여겨봤던 것 같은데 직접 서비스를 만들어가는 사람이 적어둔 내용을 살펴보니 훨씬 많은 고민이 들어간 서비스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. 앱을 그저 분석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렇게 만든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고, 다양한 관점과 시도, 시행착오를 기록해둔 것을 읽는 것 또한 나에게 굉장히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해서 앞으로 조금씩 더 시간을 내서 아티클을 읽어보기로..
💚 아티클 주소
https://code.naver.com/contentDetail/67
은밀하게, 조화롭게
당신이 몰랐던 네이버지도의 비밀
code.naver.com
'UXUI 스터디 > 2023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앱 리뷰] 스픽 (0) | 2024.04.14 |
---|---|
[아티클 리뷰] 네이버 페이가 ‘원’한 것 (0) | 2024.04.14 |
[앱 리뷰] 지역상품권 chak (0) | 2024.04.07 |
[서비스 리뷰] 네이버 (앱 개편 살펴보기) (2) (0) | 2024.04.07 |
[서비스 리뷰] 네이버 (앱 개편 살펴보기) (1) (1) | 2024.04.07 |